본문 바로가기

투자

💻 파이썬으로 자동 주식매매 시스템 만들기 — 초보자 실전편

반응형

투자를 오래 하다 보면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매매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바로 자동 매매 시스템, 그리고 그 핵심 도구가 **파이썬(Python)**입니다.
전문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몇 줄의 코드로 내가 설정한 조건에 맞춰 주식을 자동으로 사고팔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복잡한 기술 용어 없이, 초보 투자자가 따라 할 수 있는 수준의 파이썬 자동 매매 시스템 구축법
단계별로 실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1️⃣ 자동 매매 시스템이란?

자동 매매 시스템(Auto Trading System)은
투자자가 직접 매수·매도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거래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즉, 감정 개입을 없애고, 규칙적인 투자 습관을 만들 수 있는 투자 방식이죠.


🔹 2️⃣ 준비 단계

Python 설치 (3.10 이상)
증권사 오픈 API 계정 (예: 키움증권, 미래에셋, IBKR 등)
VSCode 또는 Colab 환경
pandas, numpy, requests 등의 라이브러리


🔹 3️⃣ 기본 구조 이해하기

자동 매매의 기본 로직은 단순합니다.

 
1. 시세 데이터 가져오기 2. 매수/매도 조건 판단 3. 주문 실행 4. 거래 결과 저장

이 네 단계를 순서대로 반복하면
기본적인 자동매매 루프가 완성됩니다.


🔹 4️⃣ 예제 코드 — 가상 데이터로 체험하기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time # 1. 가상의 주가 데이터 생성 prices = pd.Series([101, 103, 102, 104, 107, 105, 110]) # 2. 간단한 이동평균 전략 short_ma = prices.rolling(window=3).mean() long_ma = prices.rolling(window=5).mean() for i in range(5, len(prices)): if short_ma[i] > long_ma[i]: print(f"[매수신호] {i}일차: 주가 {prices[i]}") elif short_ma[i] < long_ma[i]: print(f"[매도신호] {i}일차: 주가 {prices[i]}") time.sleep(0.5)

설명:
이 코드는 단순 이동평균선(MA)을 이용한 자동매매 로직의 기본 형태입니다.
실제 주가 데이터를 API로 바꾸면 바로 실전용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 5️⃣ 실제 증권사 API 예시 (키움증권 기준)

 
from pykiwoom.kiwoom import Kiwoom kiwoom = Kiwoom() kiwoom.CommConnect() # 로그인 # 주가 데이터 요청 data = kiwoom.block_request("opt10081", 종목코드="005930", 기준일자="20250101", 수정주가구분=1) # 간단한 매수 조건 if float(data['현재가'][0]) < 70000: kiwoom.SendOrder("buy_order", "0101", "계좌번호", 1, "005930", 10, 0, "03", "")

💡 실무 팁:

  • 테스트는 모의투자계좌에서만 진행하세요.
  • 거래 조건을 반드시 로그로 기록하고, 예기치 않은 반복 주문 방지를 위한 안전 조건문을 추가해야 합니다.

🔹 6️⃣ 자동화의 핵심 포인트

1️⃣ 전략의 단순화
→ 조건을 너무 복잡하게 만들면 성능이 떨어집니다.
2️⃣ 로깅 시스템 구축
→ 모든 주문·응답·체결 결과를 CSV로 자동 저장하세요.
3️⃣ 시간 기반 실행 스케줄링
→ 파이썬의 schedule 모듈로 매일 오전 9시 자동 시작 설정 가능


🔹 7️⃣ 보완 아이디어

  • ChatGPT API 연동: 시장 뉴스 요약 → 자동 매매 판단 참고
  • Google Sheet 연결: 매매 로그 자동 업데이트
  • Telegram 연동: 거래 결과 실시간 푸시 알림

🧩 마무리

자동 매매는 복잡한 기술이 아니라, 투자자의 규칙을 코드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이 시스템을 구축하면 매일 시장을 지켜보지 않아도 되고,
객관적인 투자 습관이 만들어집니다.
처음엔 간단히 백테스트용 시뮬레이션으로 시작하고,
조금씩 실제 매매 시스템으로 발전시켜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달러 예금과 환율 차익 전략 — 실전 계산으로 알아보기”**를 다룹니다.
투자 수익의 핵심인 환율 변동을 이용해 안전하게 수익을 높이는 구조를 설명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