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자동차, 실손, 생명)

교통사고 시 보험사보다 먼저 해야 할 행동

반응형

골든타임을 놓치면 손해가 커진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누구나 당황하게 된다. 하지만 초기 대응이 미숙하면 이후 보험처리, 과실비율 산정, 형사처벌 여부까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사에 연락하기 전 반드시 해야 할 조치들을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교통사고 시 보험사보다 먼저 해야 할 행동


1. 즉시 차량 정차 및 비상등 점등

사고 발생 직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차량을 안전한 위치에 정차시키는 것이다.
이후 비상등을 켜고 삼각대 등 안전장치를 설치해 2차 사고를 예방한다.
사고 현장을 무단 이탈하거나 조치 없이 방치할 경우, 도주 또는 부주의 운전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인명 피해 여부 확인 및 119·112 신고

사람이 다쳤다면 가장 먼저 119(구급), 그리고 112(경찰)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 인명 피해 사고는 법적으로 신고 의무가 있으며, 미신고 시 도주치상 등 중범죄로 처벌 가능
  • 경미한 사고라도 당사자 합의 전에 경찰 신고 후 사실관계 확인이 중요함

3. 사고 현장 사진 및 영상 확보

보험사나 경찰이 도착하기 전, 사고 당시 위치, 파손 부위, 신호 상태, 도로 표지, 차량 번호 등을 반드시 촬영해둬야 한다.

  • 블랙박스 영상은 즉시 별도 저장(자동 덮어쓰기 방지)
  • 현장 스케치 또는 메모도 증거 자료로 활용 가능

📌 팁: 사고 직후 상대 차량 운전자의 언행도 녹음 또는 영상으로 확보해 두면 유리함


4. 주변 목격자 확보 및 진술 요청

신호 위반, 급차선 변경 등 과실 다툼이 예상되는 사고라면, 주변 목격자의 연락처 또는 간단한 진술 확보가 큰 도움이 된다.
경찰 조사나 보험사 협의 시 중립적 제3자의 진술이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5. 사고 직후 보험사 연락은 ‘정보 확보 이후’

현장 정리가 어느 정도 끝나고 기초 증거자료 확보가 완료된 뒤, 보험사에 연락한다.

  • 보험사 연락 전 과실 여부를 단정짓는 발언이나 사과는 주의
  • 전화 통화는 녹음 가능 여부 확인 후 진행하는 것이 안전

6. 경미 사고라도 병원 진단서 확보

사고 직후에는 통증이 없더라도 48시간 내 병원 방문을 권장한다.

  • 시간 경과 후 통증 발생 시 보상 인정 어려울 수 있음
  • 경미한 접촉사고라도 정형외과 또는 한방병원 진료 기록 확보가 유리함

7. 경찰 진술 시 유의사항

  • 본인 진술은 팩트 기반으로만 작성
  • 과실 비율 판단은 경찰 또는 보험사의 몫이므로 주관적 해석은 배제
  • 음주 또는 약물 관련 여부는 반드시 숨김 없이 진술

8. 교통사고 초기 대응 관련 공식 사이트


결론: 보험사보다 현장 증거가 더 강력한 방패다

보험사는 사고 이후 정산을 도와주는 기관이지만, 사고 순간의 사실관계를 대신 기록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사고 발생 직후 침착하게 대응하고, 증거와 진술을 확보한 뒤 보험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불필요한 과실비율 분쟁이나 금전 손해를 줄이는 지름길이다.

반응형